본문 바로가기

최종편집일 2023-06-09 13:16

  • 뉴스 > 정치의원뉴스

시설물 안전점검‧진단 시장 저가계약 행태 심각 수준

최근 5년간 발주사업의 86.6%가 70%미만 저가계약

기사입력 2022-10-03 15:12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 스토리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문자로 공유 밴드로 공유

국민의힘 김희국 국회의원(경북 군위의성청송영덕)이 국토안전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17~’21) 167,603건의 안전점검진단이 발주되었고, 이 중 86.6%145,166건이 국토부가 고시하는 안전점검등비용산정기준’(이하 기준) 대비 70%미만의 저가로 계약된 것으로 나타났다.

 

 

 

저가계약은 공공발주자도 예외가 아니어서, 공공발주의 경우 기준 대비 70% 미만으로 계약된 건이 전체의 72%에 달했고, 50% 미만으로 계약된 건도 절반이 넘는 53%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발주의 경우 상황은 더 심각해 전체 발주 물량의 83%가 기준 대비 10% 미만의 금액으로 계약되고 있었다.

 

 

 

<최근 5년간(‘17~’21) 시설물안전법에 따른 안전점검등 발주현황>

 

 

 

현행 시설물안전법령과 관련지침에서는 기준 대비 70% 미만으로 도급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안전점검진단 실시결과에 대한 평가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기준 대비 70% 이하의 저가계약은 사실상 부실 점검진단의 우려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김 의원은 이렇듯 저가수주 행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은 진단업체의 난립과 이로 인한 과당경쟁, 발주자의 인식부족과 부족한 예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결과라고 분석했다.

 

 

 

‘21년 국토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안전진단전문기관의 수는 1,349개소, 이들이 보유한 기술인력은 19,286명이고, 이들 기관의 수주 금액은 4,672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1개 업체당 평균 매출은 3.46억원, 기술인력 1인당 2,422만원에 불과한 수준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저가 계약은 부실 점검진단으로 이어지고, 이는 결국 공공의 안전을 저해하는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내실있는 점검진단을 위해 저가계약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민충실 기자 (airturbo1@hanmail.net)

댓글0

스팸방지코드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