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종편집일 2023-06-09 13:16

  • 뉴스 > 정치의원뉴스

최근 10년간 공시가 6억, 9억이상 아파트 5배이상 증가

공시가 6억이상 아파트 84만2,140호 증가, 공시가 9억이상 아파트 43만호이상 증

기사입력 2021-05-17 17:15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 스토리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문자로 공유 밴드로 공유

국민의힘 김희국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아파트관련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전국적으로 8091,104호이던 전국의 아파트는 2021년현재 1,1461,300호로 337196호가 늘었다. 경기도에서 100만호이상 증가(2041,518->312863)한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이중 서울은 20101385,372호이던 것이 2021년현재 168984호로 295,612호가 늘었다.

 

 

 

그렇다면 공시가격 6억 및 9억초과 아파트는 각각 얼마나 늘었을까?

 

 

 

전국적으로 공시가 6억초과 아파트는 2010251,897호였지만, 2021년현재 1094,037호로 842,140호가 늘었다. 이중 서울이 216,815호에서 743,766호로 526,951호가 늘었다.

 

 

 

공시가 9억초과 아파트는 전국적으로 201083,785호에 불과했으나 2021현재 514,461호로 43676호가 늘었다. 공시가 9억이 넘는 아파트는 2010년만 하더라도 서울이 대부분으로 전국 83,785호 중 8412호였다. 이것이 2021년에 406,009호로 325,597호로 늘어난 것이다. 공시가격이 최종 확정되는 61일이 되면 그 수가 급격히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세종시의 경우 2019년까지 공시가 9억이 넘는 아파트가 1호도 없었지만 202025호에서 2021년현재 1,645호로 폭증했다. 2년만에 1,645배 증가한 셈이다.

 

 

 

전국 광역단체별로 공시가격 6억원이 넘는 아파트가 단 1채도 없는 곳은 강원도이고 전남은 1, 경북은 4호가 있다. 공시가 9억원이 넘는 아파트가 단 한 채도 없는 광역시도는 강원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이고, 전라남도에 1호가 있다.

 

 

 

김희국의원은 인구 수에서도 그렇지만, 부동산에서도 수도권과 지역간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특히 서울, 경기도, 세종시 등의 경우 정부의 잘못된 부동산정책으로 인한 공시가격 급등으로 주민들의 세부담이 폭증하고 있는만큼 1가구1주택자 등에 대한 보유세(종부세, 재산세) 감면과, 다주택자의 보유물량이 시장에 나올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라도 거래세를 대폭 줄여주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민충실 기자 (airturbo1@hanmail.net)

댓글0

스팸방지코드
0/500